지속되는 만성 두통과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은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 뿐 아니라, 때로는 위험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 본문에서는 만성 두통 원인, 심한 두통 원인, 두통 부위별 의심 질환에 대해 상세히 알아봅니다.
만성 두통 원인
한 달에 15일 이상 두통이 지속되며, 3개월 이상 계속될 경우 ‘만성 두통’으로 분류됩니다. 이러한 두통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, 아래와 같은 경우가 대표적입니다.
일차성 두통의 만성화
- 만성 긴장형 두통: 스트레스, 수면 부족,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머리와 목의 근육이 지속적으로 긴장하면서 발생합니다.
- 만성 편두통: 기존의 편두통이 자주 반복되고 약물 과용, 호르몬 변화, 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만성화될 수 있습니다.
- 약물 과용 두통: 진통제를 자주 복용하면 오히려 두통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으며, 특히 만성 두통 환자에게 흔합니다.
이차성 원인에 의한 만성 두통
- 경추성 두통: 목 디스크, 근육 긴장 등 경추 이상으로 인해 머리 뒤쪽이나 목덜미에 두통이 발생합니다.
- 뇌압 이상: 뇌척수액의 압력 이상(상승 또는 저하)은 만성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- 뇌종양: 천천히 자라는 종양이 두개내 압력을 높이며 만성적인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만성 감염: 만성 부비동염 등 지속적인 감염 상태는 이마나 안면의 만성적인 두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정신적 요인: 우울증, 불안 장애 등도 만성 두통을 일으키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입니다.
갑작스럽고 심한 두통 원인
평소와는 다른 강도의 두통이 갑자기 시작된다면, 이는 단순한 긴장성 두통이 아닌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
주요 원인
- 편두통: 한쪽 머리에 욱신거리는 통증이 나타나며, 메스꺼움, 빛/소리에 대한 예민함이 동반됩니다.
- 군발 두통: 눈 주위나 관자놀이에 매우 강한 통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며, 밤에 잘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.
- 뇌출혈: 갑작스러운 망치로 맞은 듯한 통증, 구토, 의식 저하가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.
- 뇌수막염: 고열, 목 경직, 의식 혼미를 동반하는 극심한 두통으로, 감염성 질환입니다.
- 뇌정맥 혈전증: 뇌 정맥에 혈전이 생겨 심한 두통, 발작, 시력 이상 등이 동반됩니다.
- 녹내장 발작: 눈의 통증과 함께 시력 저하, 메스꺼움이 동반되는 심각한 안과 응급 질환입니다.
- 측두동맥염: 노년층에서 관자놀이 부위의 심한 통증, 시야 흐림 등이 나타나며, 치료 지연 시 실명 위험이 있습니다.
두통 부위별 의심 질환
두통의 위치에 따라 의심할 수 있는 질환이 달라집니다. 부위별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.
머리 전체
- 의심 질환: 뇌압 상승, 뇌종양, 뇌수막염, 뇌출혈, 고열을 동반한 전신 질환
- 특징: 둔한 압박감, 지속성, 구역감 동반 가능
이마, 미간
- 의심 질환: 긴장성 두통, 부비동염
- 특징: 앞이 무거운 느낌, 아침에 더 심할 수 있음
관자놀이
- 의심 질환: 편두통, 측두동맥염
- 특징: 박동성 통증, 시각장애 동반 가능
뒷머리, 목덜미
- 의심 질환: 경추성 두통, 후두신경통
- 특징: 움직일 때 심해지는 통증, 뻐근함
눈 주변
- 의심 질환: 군발 두통, 녹내장
- 특징: 눈을 찌르는 듯한 통증, 눈물 흘림, 충혈
한쪽 머리
- 의심 질환: 편두통
- 특징: 욱신거림, 구역감, 소리·빛에 민감
두통은 단순한 증상일 수 있지만, 때때로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. 특히 이전과 다른 양상의 두통, 점점 심해지는 두통, 신경학적 이상이 동반될 경우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